금형기술사36 금형을 냉각하는 이유 금형을 냉각하는 이유? 1. 생산성과 품질확보 용융된 수지의 고화속도를 빠르게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함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안정시키기 위해서이다. 금형을 냉각시키지 않게 되면 뜨거운 수지의 열로 인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시간이 냉각할 때 보다 엄청나게 느리게 될 것이다. 금형의 온도 관리는 사출 생산성과 품질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효율적인 열관리와 경제적인 운영은 사출현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 성형공정에서 금형을 냉각하는 방법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냉각 : 온조기 시스템 (고화속도가 빠르고 점도가 높은 플라스틱에 적용) 상온보나 낮은 온도로 냉각 : 칠러 시스템 (고화속도가 느리고 점도가 낮은 플라스틱에 적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냉각 : 쿨링타워 시스템 (고화속도가 느리.. 2023. 7. 3. 금형에서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양산하는데 중요한 관리 포인트는? 금형에서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양산하는데 중요한 관리 포인트는? 관리적인 부분 에어벤트 금형표면의 기름때 가스 찌꺼기 냉각유로 등 '냉각유로'는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에 해당된다. 냉각유로는 생산성과 품질, 두 가지 측면 모두에 큰 영향을 주는 부분으로, 설계방법과 관리적인 부분에서 상당한 기준을 필요로 하고 실행을 하고 있는 부분이다. 특히 냉각유로에서 스케일은 금형의 냉각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품의 온도에 영향을 준다. 탱크 냉각 구조 냉각 전용 노즐 내/외측 분할 구조 분할 코어 접합 가공 공수가 작아, 일반 금형에 보편적 적용됨 냉각 전용 노즐을 제작하여 삽입하는 구조 내/외측을 분할하여 냉각구조를 형성하고, 2pcs 코어를 조입하는 구조 플레이트에 냉각 슬롯을 가.. 2023. 6. 1. 열가소성 수지 결정성 수지 / 비결정성 수지 결정성 폴리머 특성 고분자 사슬이 규칙적으로 배열됨 온도상승 → 비 결정화 → 용융상태 높은 수축률 발생 고분자 사슬의 밀착된 충진이 가능 내화학성이 강함 밀착충진이 빛의 통과를 저지한다. 불투명 성형 수축률이 크다. (1.2~2.5%) 수지용융 시 많은 열량이 필요하다. 배향특성 성형 후 굽힘, 휨, 뒤틀림 등의 변형이 크다. 특별한 용융 온도나 고화 온도를 갖는다. 비 결정성 폴리머 특성 고분자 사슬의 불규칙 배열 넓은 범위의 연화온도 고분자 사슬이 깨끗이 정렬되지 못함 성형 수축률이 작다. (0.4~1.2%) 고분자 사슬사이의 공간이 넓어서 빛의 통과가 자유로움 (투명) 넓은 공간 사이로 화학물질이 침투가 쉬움 용제 및 화학물질에 민감 수지 용융 시 적은 열량 필요 치.. 2023. 5. 31. 성형 치수불량 치수불량에서 지금까지와 같은 조건으로 성형하였는데 치수가 불량일 때의 원인 재료에 산포가 있을 때 (롯트 번호가 같더라도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밤과 낮의 치수가 다를때 (기온의 영향) 치수측정 시점 (치수가 안정된 후 일정온도에서 측정하고 있는가 확인한다.) 성형수축 사출성형공정에서 고온, 압력의 변화를 받아서 생기는 것으로 재료의 특성에 따라 성형수축의 범위가 정해진다. 성형수축률의 범위 결정 재료의 흐름 방향에 방향성이 있고, 성형품의 형상이나 성형조건에 따라 결정 성형수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열적수축 : 수지 고유의 열팽창률에 의해 나타나는 수축 탄성회복에 의한 팽창 : 성형압력이 제거되어 원상태로 복원될 때 발생되는 팽창 결정화에 의한 수축 : 성형 공정에서 결정화에 따라 나타나는 체적 수.. 2023. 5. 25. 이전 1 ··· 4 5 6 7 8 9 다음